우리의 릴리 (La Petite Lili, 2003) B평
낙농콩단

우리의 릴리 (La Petite Lili, 2003) B평

by 김영준 (James Kim)

  끌로드 밀러의 2003년작 '우리의 릴리'는 제목 그대로 처음부터 끝까지 릴리(비데 아님)로 시작해 릴리로 끝나는 영화다. 그냥 무심히 "니들의 릴리 하세요"라기에 이 무렵 루디빈 새그니어는 묘하게 매혹적이라 괜찮으시다면 나도 그 우리에 좀 끼워주십사 부탁하고 싶은 마음이 들 정도다. 분명 그녀에게는 뭔가 설명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워터 드랍스 온 버닝 락 (프랑소와 오종, 1999),' '스위밍 풀 (프랑소와 오종, 2003)' 등에서의 19세 미만 절대 관람 불가 위험함과 '8명의 여인들 (프랑소와 오종, 2003),' '피터 팬 (P. J. 호건, 2003)' 등에서의 동화적 순수함이 어떻게 공존할 수 있는지 도저히 설명이 되지 않는다. 시골 소녀와 팜므 파탈을 오가는 건 원래 여배우들의 뻔하고 식상한 스탠스가 아니었나 싶다가도 흡사 중생대 후대동기 조산 운동에 견줄 법한 변화의 폭을 보면 아찔하고 당혹스러울 정도다. 어떻게 그게 가능하지? 끌로드 밀러 할아버지는 한술 더 떠서 그 이중성을 한 작품 안으로 우겨넣어 구현해 낸다. 바로 이 작품, '우리의 릴리'다. 안톤 체호프의 명작 '갈매기'를 각색한 이 작품은 우수한 각색의 본(本)으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명성을 떨치고 있으나, 동시에 새그니어의 독특한 스펙트럼을 모두 담아 기록한 작품으로도 호명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이름이야 크레딧에 네 번째로 올라가지만 이 작품은 사실상 릴리에 의한, 릴리를 위한, 릴리의 영화가 아닌가. 과연 릴리는 다른 모두에게 영감을 전파하는 인물이다. 모두가 릴리에게서 영감을 얻기에 비로소 방향성을 획득한다. 이는 비단 극 중 인물 릴리에 한정한 이야기만도 아닌 듯하다. 처음 새그니어를 자신의 뮤즈로 삼았던 오종에서부터 시작하여 끌로드 밀러와 끌로드 샤브롤 등 아쉬울 게 하나 없는 명장들까지 그녀를 캐스팅하기를 원하는 것을 보면 말이다. 

 

(2008년 12월)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낙농콩단

김영준 (James Kim)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