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릴리 (La Petite Lili, 2003) B평
by 김영준 (James Kim)끌로드 밀러의 2003년작 '우리의 릴리'는 제목 그대로 처음부터 끝까지 릴리(비데 아님)로 시작해 릴리로 끝나는 영화다. 그냥 무심히 "니들의 릴리 하세요"라기에 이 무렵 루디빈 새그니어는 묘하게 매혹적이라 괜찮으시다면 나도 그 우리에 좀 끼워주십사 부탁하고 싶은 마음이 들 정도다. 분명 그녀에게는 뭔가 설명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워터 드랍스 온 버닝 락 (프랑소와 오종, 1999),' '스위밍 풀 (프랑소와 오종, 2003)' 등에서의 19세 미만 절대 관람 불가 위험함과 '8명의 여인들 (프랑소와 오종, 2003),' '피터 팬 (P. J. 호건, 2003)' 등에서의 동화적 순수함이 어떻게 공존할 수 있는지 도저히 설명이 되지 않는다. 시골 소녀와 팜므 파탈을 오가는 건 원래 여배우들의 뻔하고 식상한 스탠스가 아니었나 싶다가도 흡사 중생대 후대동기 조산 운동에 견줄 법한 변화의 폭을 보면 아찔하고 당혹스러울 정도다. 어떻게 그게 가능하지? 끌로드 밀러 할아버지는 한술 더 떠서 그 이중성을 한 작품 안으로 우겨넣어 구현해 낸다. 바로 이 작품, '우리의 릴리'다. 안톤 체호프의 명작 '갈매기'를 각색한 이 작품은 우수한 각색의 본(本)으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명성을 떨치고 있으나, 동시에 새그니어의 독특한 스펙트럼을 모두 담아 기록한 작품으로도 호명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이름이야 크레딧에 네 번째로 올라가지만 이 작품은 사실상 릴리에 의한, 릴리를 위한, 릴리의 영화가 아닌가. 과연 릴리는 다른 모두에게 영감을 전파하는 인물이다. 모두가 릴리에게서 영감을 얻기에 비로소 방향성을 획득한다. 이는 비단 극 중 인물 릴리에 한정한 이야기만도 아닌 듯하다. 처음 새그니어를 자신의 뮤즈로 삼았던 오종에서부터 시작하여 끌로드 밀러와 끌로드 샤브롤 등 아쉬울 게 하나 없는 명장들까지 그녀를 캐스팅하기를 원하는 것을 보면 말이다.
(2008년 12월)
'불규칙 바운드 > 영화와 B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한 (You Don't Mess With The Zohan, 2008) B평 (0) | 2009.03.07 |
---|---|
천둥소리 (A Sound of Thunder, 2005) B평 (0) | 2009.02.11 |
수면의 과학 (La Science des Reves, 2006) B평 (0) | 2009.01.13 |
코미디 오브 파워 (L'Ivresse Du Pouvoir, 2006) B평 (0) | 2008.12.31 |
의식 (La Ceremonie, 1995) B평 (0) | 2008.12.07 |
몽상가들 (The Dreamers, 2003) B평 (2) | 2008.11.28 |
5×2 (Cinq Fois Deux, 2004) B평 (0) | 2008.10.14 |
자이트가이스트 (Zeitgeist, 2007) B평 (0) | 2008.10.07 |
블로그의 정보
낙농콩단
김영준 (James Kim)